안녕하세요!
와인 분류의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와인을 만드는데 사용된 포도의 품종에 따라 
특징이 크게 나뉘게 되는데요,
각 품종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르니 
대표적인 품종의 특징을 알아둔다면 
상황에 맞는 와인을 고르기 쉽겠죠!?
그럼 대표적인 포도 품종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레드 와인 (Red wine)

1. 피노 누아 (Pinot Nori)
- 원산지: 프랑스 부르고뉴
- 가장 섬세한 품종이며 카베르네 소비뇽과 함께 최고의 레드 품종입니다.
- 피노 누아로 만든 와인은 타닌이 적고 산미가 강하며 맑고 옅은 루비빛을 띠고 있습니다
- 특정 기후가 아니면 재배가 어려워 최고의 품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과학발전으로 다른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해졌습니다.
- 산지의 온도에 따라 색과 농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서늘한 지역: 색이 연하고 묽음, 더운 지역: 과일잼 맛이 나며 진함)
2. 카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 원산지: 프랑스 보르도 지역의 메독
- 향: 블랙커런트, 블랙체리
- 세계에서 가장 명성 있고 널리 재배되는 품종입니다.
- 원산지인 메독에서는 블렌딩에 주로 이용하나 미국, 호주, 칠레에서는 단독으로도 뛰어난 와인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 산지의 온도에 따라 향이 달라지게 됩니다. 
(서늘한 지역: 식물성 향, 더운 지역: 잼과 같은 향)
 
3. 템프라니요 (Tempranillo)
- 원산지: 스페인 리오하 지역
- 향: 딸기 및 레드 커런트류의 붉은 과실 향 또는 고급 가죽 및 흙 향
- 다른 품종에 향이 부족해 그르나슈 품종의 블렌딩을 통해 와인이 완성됩니다.
- 산화에 강해 숙성 기간에 따라 등급이 분류됩니다. > 최소 6개월~ 48개월 오크 숙성 후 병입 숙성까지 마친 후 출시되게 됩니다..
- 여러가지 이름이 있습니다: 울 데 예브레(Ull de Liebre), 센시벨(Cencibel), 틴토 피노(Tinto Fino), 틴타 델 파이스(Tinta del Pais), 틴타 호리즈(Tinta Roriz) 등
화이트 와인 (White wine)

1. 샤르도네 (Chardonnay)
- 원산지: 프랑스 부르고뉴
- 향: 열대 과실 향, 갓 구운 빵, 꿀 등의 다양한 향
- 최고의 화이트 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평범한 와인이 되기 쉽지만 '테루아(Terrorir)', '양조자' 그리고 '오크 숙성'을 통해 최고의 화이트 와인이 완성되게 됩니다.
- 원산지에 따라 다른 아로마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
- 원산지: 프랑스 루아르 밸리
- 향: 허브, 올리브, 망고, 풀, 패선 프루트 향
- 가벼운 바디감과 높은 산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오크 숙성을 통해 더욱 더 풍성한 와인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 뉴질랜드 말보르 지역에서 재배되는 소비뇽 블랑이 인기가 많습니다. (저렴한 가격 및 대량 생산 가능)
- 다른 이름으로는 '퓌메 블랑 (Fume Blanc)', '블랑 퓌메 (Blanc Fume)'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정말 대표적인 품종을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으로 나눠서 알아보았습니다.
포도의 품종이 이렇게나 많은지도 처음 알았지만
어떤 포도로 만드는지에 따라 와인의 맛이 이렇게나 달라진다니요!!
와인은 정말 알수록 신기하고 재밌는 거 같아요!
다음 시간에도 더 재미있고 알찬 정보로 돌아올게요!
 
 
[술, 알고 마시자] - 와인︱상황에 맞는 와인 고르기 2︱사용된 포도 품종에 따른 맛과 향의 차이
와인︱상황에 맞는 와인 고르기 2︱사용된 포도 품종에 따른 맛과 향의 차이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포도 품종에 따른 와인의 맛과 향의 차이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할게요! 이번 시간도 유익한 정보가 많이 준비되어 있으니
yeon-review.tistory.com
'술, 알고 마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와인︱대륙별 와인의 특성- 구대륙과 신대륙︱와인 평가법 알아보기 (0) | 2023.06.29 | 
|---|---|
| 와인︱상황에 맞는 와인 고르기 2︱사용된 포도 품종에 따른 맛과 향의 차이 (0) | 2023.06.22 | 
| 와인︱나에게 맞는 와인 고르기︱와인의 분류 (0) | 2023.06.18 | 
| 와인︱와인 잔 부위 명칭과 와인 종류에 따른 잔의 종류/ 악세사리 (0) | 2023.06.17 | 
| 위스키입문︱위스키 맛있게 마시는 방법, 하지 말아야 할 행동 (0) | 2023.05.23 | 
 
									
								 
									
								 
									
								